뼈이식 임플란트

치아가 빠진 후 장시간 방치하면 뼈의 흡수가 진행되어 잇몸 뼈가 약해지게 됩니다. 약해진 잇몸뼈는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워
부족한 뼈를 보강한 후 임플란트 시술을 해야합니다. 약한 잇몸뼈는 임플란트 시술 후 부작용을 야기 시킬 수 있어
다양한 방법(골이식술, 골유도재생술, 골신장술 등)으로 뼈를 재생시켜야 튼튼한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합니다.

뼈이식 임플란트 과정

  • 임플란트 식립

  • 인공뼈 및 가가골 이식 (뼈이식)

  • 뼈의 재생을 유도 (골유도재생술)

  • 잇몸 봉합 (3~5개월 후 완성)

뼈이식 임플란트 사례

아래턱 어금니 발치 후 장시간 방치하여 잇몸뼈 소실이 심한 상태로 내원. 뼈이식 후 임프란트를 식립하였습니다.

  • 잇몸뼈 소실이 심한 상태로 내원

  • 뼈이식 후 치조골 밀도가 높아진 모습

고난도 상악동 임플란트

위턱뼈는 아래턱뼈보다 얇고 코와 뺨 사이 빈 공간(상악동)이 있어서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실패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상악동거상술이란 임플란트 수술방법을 시행할 때 노하우가 부족하면 임플란트 식립 후 임플란트가 빠져버리거나
입 천장쪽에 구멍(천공)이 나는 부작용이 생기기 때문에 치과치료 중 가장 어려운 수술 중 하나 입니다.

  • 부족한 잇몸뼈를 보충하는 뼈이식술과
    난이도 높은 상악동거상술을 진행해
    안정적인 임플란트 수술을 마쳤습니다.

고운미소치과에서는 턱뼈의 해부학적 구조를 충분히 고려하고 임플란트 수술을 해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상악동 거상술은 물론
난이도가 높은 수술을 안정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치주치료 후 상악동 임플란트

잇몸뼈가 녹아내려 임플란트 12개 진단을 받고 내원한 환자, 고운미소에서 치주치료를 시행한 결과 전치부 잇몸이 개선되어 발치 하지 않고
크라운으로 수복하였고, 어금니는 상악동거상술 후 6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습니다.

  • 잇몸 염증으로 치조골 손실이 많은 상태

  • >
  • 잇몸 건강이 회복된 앞니는 크라운으로 수복

  • 백석기 대표원장
    반갑습니다. 언제나 한결같이 과장되지 않은 치의학을 바탕으로 고객중심의 치료와 상의를 드리는 여러분의 가족이 되겠습니다. 고운미소치과의 인연에 감사드리며, 클리닉을 넘어 삶에 있어 의미있는 관계가 되도록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약력
    • 학술활동
    • 논문발표
    • 치의학 박사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및 대학원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인턴, 레지던트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외래교수
    • 국군강릉병원 치과부장
    •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치과 구강외과 전임의
    • 대한 구강악안면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 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인정의 및 평생회원
    • 대한 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정회원 및 우수회원
    • 대한 치과마취과학회 정회원

    [ 구연발표 ]

    • 1996년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Ameloblastic fibroma'
    • 1998년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골격성 개교증의 유형에 따른 수술방법의 선택에 관한 연구'
    • 1998년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악관절원판 천공환자의 임상적고찰'
    • 2003년 구강악안면성형외과학회'소타액선에 발생한 다형성선종의 임상 및 병리학적 고찰

    [ 포스터발표 ]

    • 2010년 구강악안면외과학회 '입술형성 과정 중 상피의 소멸에서 O-GluNAc 당화의 기능'
    • 1998년 '악관절원판 천공환자의 임상적고찰' 대한구개하악장애학회지 논문게재
    • 1999년 '잘 낳지 않은 치주염의 원인이 된 만기 잔존치근' 대한치과의사협회 논문게재
    • 2003년 '소타액선에 발생한 다형성선종의 임상 및 병리학적 고찰' 구강악안면성형외과학회지 논문게재
    • 2010년 '입술형성 과정 중 상피의 소멸에서 O-GluNAc 당화의 기능' 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논문게재
  •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