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근단수술

치근단 절제술

신경관이 막혀 있는 경우 신경 치료로 낫지 않는 경우, 포스트가 있어 신경 치료를 할 수 없는 경우, 치아 뿌리 까지
염증이 심하지만 이러한 염증을 제거 할 수 없는 경우,
고운미소 치과에서는 잇몸 절개를 통하여 치조골 주위 염증조직을 제거하는 치근단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치아를 살리는 치근단 절제술 노하우

오른쪽 앞니에 잇몸 염증이 있으며 교정치료를 해야하는 환자. 기존 앞니의 신경치료는 양호한 상태이나 치아 뿌리의 형태
이상과 광범위한 염증으로 치조골이 녹고 있는 상태입니다.
고운미소에서는 기존 보철물을 그대로 유지하고 치아 뿌리 끝 2mm를 절단하는 치근단 절제술을 시행하였습니다.

  • 치아뿌리 형태이상과 염증으로 치조골이 녹고 있는 상태

치아뿌리 2mm를 절단하여 염증 조직을 제거한 후 MTA(특수 생체재료)로 충전해 줍니다. 치료 후 치아 뿌리 쪽 염증이 없어지고 교정 치료도
안전하게 마무리 되었습니다.

  • 기존 신경치료는 양호한 상태이나 치근부위에 염증과 치조골 소실이 진행 중

  • 치아 뿌리 쪽 잇몸을 절개하고 치조골 부위의 염증조직을 제거. (난이도 중)

치아재식술

치아재식술은 치아를 빼내어 염증의 원인된 부위를 제거하고 다시 치아를 식립하는 술식입니다.
치아와 잇몸뼈를 손상 없이 발치하고 병소를 제거한 후 재 식립하는 시술로 풍부한 임상노하우가 요구되는 고난이도 치과 수술입니다.
기존 신경치료를 감각에 의지해 진료했던 것과 달리 눈으로 직접 보면서 치료를 진행할 수 있어 치아 주변과
잇몸뼈 속 염증조직까지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고난이도 신경치료 고운미소 치아재식술

심한 염증으로 치조골이 광범위하게 소실 아래쪽 신경관이 가까이 있어 치근단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 타 병원에서 임플란트 진단을 받았지만,
고운미소치과에서 치아를 발치하고 뿌리 쪽 염증을 제거한 후 발치한 치아를 다시 심는 치아재식술을 시행하였습니다.

  • 기존 신경치료 부위에 염증과 치조골이 소실되고 있는 상태

  • 치아를 발치하고 염증을 제거, MTA로 충전하고 치아를 다시 심음. (난이도 최상)

치아재식술을 받고 6개월 후 신경손상 없이 염증이 완전히 제거 된 상태입니다. 또한 염증이 있던 자리에 다시 뼈가 차오르고
있어 치아의 기능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습니다.

  • 백석기 대표원장
    반갑습니다. 언제나 한결같이 과장되지 않은 치의학을 바탕으로 고객중심의 치료와 상의를 드리는 여러분의 가족이 되겠습니다. 고운미소치과의 인연에 감사드리며, 클리닉을 넘어 삶에 있어 의미있는 관계가 되도록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약력
    • 학술활동
    • 논문발표
    • 치의학 박사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및 대학원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인턴, 레지던트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외래교수
    • 국군강릉병원 치과부장
    •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치과 구강외과 전임의
    • 대한 구강악안면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 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인정의 및 평생회원
    • 대한 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정회원 및 우수회원
    • 대한 치과마취과학회 정회원

    [ 구연발표 ]

    • 1996년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Ameloblastic fibroma'
    • 1998년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골격성 개교증의 유형에 따른 수술방법의 선택에 관한 연구'
    • 1998년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악관절원판 천공환자의 임상적고찰'
    • 2003년 구강악안면성형외과학회'소타액선에 발생한 다형성선종의 임상 및 병리학적 고찰

    [ 포스터발표 ]

    • 2010년 구강악안면외과학회 '입술형성 과정 중 상피의 소멸에서 O-GluNAc 당화의 기능'
    • 1998년 '악관절원판 천공환자의 임상적고찰' 대한구개하악장애학회지 논문게재
    • 1999년 '잘 낳지 않은 치주염의 원인이 된 만기 잔존치근' 대한치과의사협회 논문게재
    • 2003년 '소타액선에 발생한 다형성선종의 임상 및 병리학적 고찰' 구강악안면성형외과학회지 논문게재
    • 2010년 '입술형성 과정 중 상피의 소멸에서 O-GluNAc 당화의 기능' 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논문게재
  • 상담신청